가. 올바른 인성과 자기주도적 배움 : 자율
참여와 소통의 기본 전제는 '함께'입니다. 동우교육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참여와 소통, 배려의 마인드 실천은 올바른 인성에서 비롯됩니다. 충·효·인·경의 민족적 품성을 기르고, 본교 교육과정에 명시한 '3례(禮) 3습(習)'- ('안녕하세요', '감사합니다', '제가 하겠습니다')은 인성함양의 실현체이자 올바른 삶의 철학이 내재해 있습니다. 인성교육의 철학에는 인간 천성에 기반한 실천적 메시지가 존재합니다. 이를 근저로 한 교육과정, 학사일정, 학생 자치의 민주적 운영은 구성원들의 실질적인 의사소통과 협의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스스로 체험하고 적극적인 참여로 얻은 지식과 정보를 융합하여 자기 것으로 만드는 자기주도적 배움과 더 나아가 창의적 배움의 공동체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이는 궁극적 배움에 이르는 것이며, 다양한 가치를 이해하고 세계의 평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함께하는 세계 시민 양성에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A. Proper persona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utonomy
The basic premise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s 'together'. As a member of the Dongwoo Education Community,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consideration in mind practice come from the right personality. Cultivating the ethnic characteristics of loyalty, filial piety, humanity, and Gyeongsang, and stipulated in the curriculum of this school, the "three-time" (Hello, Thank you, and I'll do it) is a realization of personality and the right philosophy of life. There is a practical message based on human nature in the philosophy of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this, the curriculum, academic schedule, and democratic operation of student autonomy serve as practical communication and consultative body for the members. In addition, it is becoming a commun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ve learning that combines knowledge and information gained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with self-experience. This is the ultimate learning and aims to foster global citizens who understand various values and work together for world pea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나. 미래를 이끄는 창의적 역량 : 창의
4차 산업 시대를 이끄는 참 견인차 역할의 준비는 끊임없는 자기 계발과 창의성의 발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시대정신의 동반자적 역할과 글로벌 마인드 실천을 위해서는 체계적 교육 방법과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창의적 사고 키우기와 합리적 미래 설계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 전반의 유기적 계획 마련과 학습 진행 과정들을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방법, 입학에서 졸업까지의 단계적 커리큘럼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 첫 스텝으로 매년 본교에서 제작한 학습플래너는 구상화된 자기 설계를 가능하게 하며, 연간 학습 플랜에서 매일매일의 학습 활동까지를 자발적으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상승적 자기 발전을 위하여 지난날의 성찰, 현재를 머무는 충실한 학교생활 설계, 미래를 고민하는 플랫폼으로서의 몫을 담고 있습니다. 한편, 수업의 핵심 정리와 더 심화된 문제해결능력을 학습일지에 병행 작성함으로써 교과와 비교과의 연계성을 맺고, 창의 융합적 사고력을 키우는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첨단지성에 다가가는 요체가 되고 있습니다.
B. Creative ability to lead the future: Creativity
The preparation for the role of a true tow truck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era is the constant expression of self-development and creativity. Systematic education methods and systems are needed to play a partner role in this spirit of the times and to practice global minds.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 for creative thinking and rational future design, there are specific ways to self-check the overall organic planning and learning process, and a phased curriculum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As the first step, the learning planner produced at this school every year enables the conceptual self-design, and voluntarily creates daily learning activities from the annual learning plan. For sustainable and upward self-development, it includes reflection of the past, faithful design of school life that stays in the present, and its share as a platform for thinking about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the core organization of classes and deeper problem-solving skills are written in the study log to connect with the curriculum and compare, and to reach the advanced intelligence that future talents need to develop their creative thinking skills.CLOSE
다. 강인한 정신력과 도전정신 : 도전
자신의 꿈 실현을 위한 선행 조건은 의지와 열정을 갖는 것입니다. 아무리 손쉽게 얻을 수 있는 희망도 열패한 의지로는 얻을 수 없음이 그 반증입니다. 창의적 사고와 지적 영역의 융합 역량을 키우는 것은 미래를 이끄는 핵심 역량이 되었습니다. 아울러, 폭넓은 스키마(schema)와 심미적 감수성을 기르는 것 또한 필요조건이 되었습니다. 미래사회는 자신의 전문 분야만으로는 유의미한 과업 성취에 부족함이 있고,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와 융합으로 새로운 제3의 창의성과 효용성을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인재상을 가르치는 제도권 내의 교육적 기반은 독서 활동에 있습니다. 본교에서는 학교 내 교과별 필독서를 선정하여 다양한 독후 활동(독서 이벤트, 독후감 쓰기와 발표대회, 독서 퀴즈 행사)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점심과 저녁 식사 후에는 교내 산책로를 걷는 ‘은행로 걷기 생활화’와 학습의 장을 운동장으로 옮겨 동우공동체가 하나 되어 울타리처럼 연대감을 형성하는 ‘ᄒᆞᆫ울제 체육대회와 축제’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기 개성을 맘껏 펼칠 수 있는 ‘학술제와 미래비전 학습 동아리 프로젝트 활동’으로 숨은 끼의 발현과 잠재력을 한껏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아울러, 설립이념의 중핵적 요소인 충(忠)의 실행으로 심오한 국가관과 안보관 고취에 방점을 두고 3·1절, 6·25전쟁, 광복절, 경술국치일, 전방부대 견학 등 올바른 역사 인식의 계기 교육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나라사랑 우리역사 바로알기 교내대회(주제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를 매년 개최하고, 언론사의 도움을 받아 전국에 올바른 역사를 알리기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런 일련의 교육활동은 설립이념 구현의 일환이며, 그 이면에는 사명감(Man Of Mission- 헌신적으로 책임을 다하며 살아가는 소중한 삶) 실천을 위한 자강불식(自强不息- 스스로 힘쓰고 쉬지 않음)의 강인한 동우정신(東祐精神)의 근간이 내면화되어 있습니다.
C. Strong mentality and spirit of challenge: Challenge
The prerequisite for realizing one's dream is to have will and passion. The proof is that no hope that can be easily obtained cannot be obtained by hard will. Developing the convergence capabilities of creative thinking and intellectual areas has become a key capability that leads the future. In addition, developing a wide range of schemas and aesthetic sensitivity has also become a requirement. This is because the future society alone lacks meaningful task achievement in its own field, and seeks new third creativity and utility through connections and convergence with various fields. The educational foundation within the system for teaching this talent is in reading activities. In this school, we select required reading books for each subject in the school and conduct various post-reading activities (reading events, book review writing and presentation competitions, and reading quiz events). After lunch and dinner, we are holding a "Walking Life to the Bank" walking on the school trail and a "H£ng-Ulje Sports Festival and Festival" where Dong-woo community is united to form a sense of solidarity like a fence. In addition, we have the opportunity to show our hidden talents and potential with the "Academic Festival and Future Vision Learning Club Project Activities" where we can fully demonstrate our individuality. In addition, it focuses on promoting a profound view of national and secur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Chung, a key element of its founding ideology, and conducts education on the right historical awareness such as March 1 Independence Day, Korean War, Liberation Day, Gyeongsul National Day, and Front Troops. Above all, we hold an annual "In-school Congress to Know Our History Right (topic: Japanese colonial era Independence Movement)" and play a role in promoting the right history throughout the country with the help of media companies. This set of educational activities is part of the establishment ideology, and behind them is the strong Dongwoo spirit of self-imposed effort to practice a sense of mission (a precious life of devotion and responsibility).
라. 지역과 함께 하는 교육공동체 : 소통
참된 학력의 추구는 전인성 지향의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학습을 통해 습득한 교과 지식, 사고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의 지적 능력과 성취동기, 호기심, 자기관리역량, 민주 시민의 가치 등 정의적 능력까지를 아우르는 총체성과 조화로운 발달에 있습니다. 이를 실현하는 학습의 장은 학교를 넘어 지역사회로 배움터를 넓혀 나가는 교육생태계의 확장으로 존재감을 높이는 몫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작게는 학생들의 대표 조직인 학생회 활동 활성화와 학급임원, 학년장, 학생회, 교사가 참여하는 전체 대의원회의로 실질적 의사소통의 통로가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학생인권 존중과 학교폭력의 근본적 예방을 위한 ‘멈춰!’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교폭력 ZERO와 성숙한 민주성에 큰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 나아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지역 주민과 공유하는 ‘동우 꿈·끼 나눔 한마당(2019.10.24.)’도 지역사회 일원으로서의 유대감과 교육생태계를 지역사회로 확장하며, 공동체 역량 높이는 상승적 가치 실현의 활동입니다. 이는 지역사회와 연계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얻은 경험의 확장과 삶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세계 시민으로 발돋움하는 동우교육공동체가 품은 소통과 협력의 진정한 모습입니다.
D. Regional educational community: communication
The pursuit of true educational background is based on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intellectual skills such as learning knowledge, thinking skills, problem solving, creativity, etc. and the definitive abilities such as motivation for achievement, curiosity, self-management, and democratic citizens' values. The learning center that realizes this is responsible for increasing its presence by expanding the educational ecosystem that extends the learning field beyond schools to the community. In a small way, it is a channel for practical communication with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 council, which i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the students, and the entire representative meeting involving class executives, school year heads, student councils, and teachers. In addition, I take great pride in school violence ZERO and mature democracy by running 'Stop!' program to respect student human rights and prevent school violence fundamentally. Furthermore, Dongwoo Dream and Talent Sharing Hanmadang (2019.10.24), which shares the knowledge learned at school with local residents, expands the bond and educational ecosystem as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increases community capacity is an activity of realizing upward value. This is not only to respect the expansion of experience and diversity of life gained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linked to the community, but also to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the Dongwoo Education Community, which is becoming a global citizen.